-
끄는 방법을 찾으면 구글 검색 기록 삭제카테고리 없음 2021. 8. 26. 06:46
구글도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계정 동기화 기능을 제공한다. PC, 모바일 검색창을 자주 보면 최근 여러분들이 무엇을 검색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편할 때도 있지만 다른 사람과 화면을 공유하면서 업무를 처리할 때 부끄러운 상황에 빠질 수도 있다. (도대체 무엇을 검색해 온 것일까?) 그리고 구글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플랫폼 사업자는, 유저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명목아래, 유저의 활동을 모니터링 해,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보존해 두어 활용한다. 개인정보 유출이 폐를 끼치는 분도 많을 것이다.그렇다면 본문에서 공유하는 구글 검색 기록의 삭제 및 삭제 방법을 그대로 따라해 볼 것을 권한다. 계정 로그인 상태에서 G oogle 메인 페이지 우측 하단의 [설정] 탭을 클릭한다. 이어서 [검색 기록]으로 이동한다.참고로 반응형 웹을 지원하기 위해 해당 방법은 PC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효과적이다. 화면 중간에 있는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위의 사진과 같이 총 3개의 서브메뉴가 여러분을 반겨준다.우선 지금까지 구글을 통해 접근한 모든 기록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모든 데이터 삭제(①)]를 해야 한다.가장 기본이 되는 키워드 검색뿐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그리고 뉴스나 도서 섹션에서 접속한 데이터까지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이번에는 [자동 삭제(②)]를 선택하자. 일정기간이 지난 활동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이다.안타깝게도 설정할 수 있는 기간이 3, 18, 36개월로 매우 넓다. 여기서 "웹과 앱의 활동" 정보는 지도, 구글 검색, 구글 Play 등 그들의 플랫폼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그러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이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광고를 노출한다. 수익모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1일, 7일, 30일 등 짧은 기간 지원하지 않는다.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원치 않는다면 웹 및 앱 활동 기록 자체를 중단하는 것이 좋다. 매일 구글 검색기록 삭제를 하기도 귀찮아 자동 삭제를 기다리려면 적어도 3개월이라는 기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제 좌측 사이드탭에서 [제어]를 선택하자. 그러면 위의 사진과 같이 [사용중지] 버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한다. 쉽다
해당 페이지에서 추가로 [개인정보검색 결과]와 [광고 개인 최적화]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게 뭔지 궁금하겠지만 역시 사용자 맞춤 서비스와 관련이 있다. 전자는 여러분의 구글 사용을 기반으로 음식점, 볼만한 동영상을 추천하거나 마지막으로 검색한 내용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자동 완성 기능, 그리고 계정 설정에 적용된 집, 회사의 정보를 바탕으로 경로 안내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후자는 구글 애드센스가 삽입된 웹사이트 광고 배너, 유튜브 광고 등에 여러분이 최근 관심을 가지고 검색한 키워드와 관련된 상품이 노출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둘 다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각 설정으로 이동하여 비활성화 처리하면 된다.
Mobile판도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 오늘은 구글 검색기록 삭제와 삭제 방법을 공유했다. 길어야 3분이면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다.물론 글로벌 공룡기업 구글이 여러분의 개인정보를 낭비하지는 않을 것이다.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도 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두에서 말했듯이, 부끄러운 상황을 마주할 수 있는 점에서, 삭제의 방법 정도는 알아 두면 좋을 것이다.